한국사능력검정시험 준비하고 계시다면 ‘이것’만 반복하면 됩니다. 1급 1달 합격 노하우를 공유드리며 한국사능력시험의 일정과 유효기간, 기출문제 푸는 방법, 발급기관과 각종 Q&A까지 총정리해보았습니다.
한국사능력검정시험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은 말 그대로 한국의 역사에 대한 본인의 지식 정도를 테스트하는 시험입니다.
1급부터 6급까지 다양하게 치를 수 있어 선택의 폭을 다양하게 주었지만 먹고살기 힘든 지금 시기에는 가산점을 위한 좋은 수단이 될 뿐이죠.
많은 분들이 한능검을 취업을 위해 준비를 하고 계실 텐데요. 취업을 위해서는 최소 2급 이상의 자격 시험에 합격해야 합니다.
그 이유는 대부분의 공기업들이 가산점을 주는 급수가 2급 이상이기 때문인데요. 2023년 공기업 채용 공고중 해당 자격시험에 가산점을 주는 곳들을 일부 정리해본 바로는 아래와 같습니다.
- 도로교통공사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2급 이상
- 한국관광공사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1급(가산점 1%), 2급(가산점 0.5%)
- 한국공항공사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1급 이상
- 국민건강보험공단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3급 이상
- 국민연금공단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3급 이상
- 한국국토정보공사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1급(가산점 2%), 2급(가산점 1.5%)
-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1급(가산점 3%), 2급(가산점 2%)
- 한국수력원자력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3급 이상
대부분의 경우 2급 이상을 취득하여야 가산점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는데요.
1급과 2급의 공부량 차이는 그다지 없다는 것이 제 생각이니 이왕 취득할 생각이라면 1급 자격을 취득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단기 합격 노하우
저의 경우에는 문과를 나오기는 했지만 한국사는 관심이 많이 없었고 공부에 손을 놓은 지 오래라 한국사는 유명한 드라마 이름 정도나 생각날 정도였습니다.
하지만 약 1달 간의 공부 후 아래와 같은 응시 결과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제가 했던 공부 방식은 바로 얇은 교재로 횟수에 상관없이 책읽듯이 계속 반복하는 것이었습니다.
저는 10개가 넘는 자격증을 취득한 이력이 있습니다. 모든 자격 시험은 결국 반복 학습이 답이더라고요.
두꺼운 책이 아니라 얇은 책을 선택한 것이 한 몫 하기도 했습니다.
교재로는 공무원 강사로도 유명한 전한길의 필기노트를 사용했고 140페이지 남짓한 교재를 20회는 돌려보았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처음에는 무슨 소리인지 어떤 내용인지 하나도 기억나지 않았지만 반복될수록 읽기가 수월해져 모든 내용을 자체적으로 ‘암기’할 수 있었습니다.
점수 자체는 1급 최소 합격선인 80점을 조금 넘는 수준이지만 노베이스로 단기간에 취득하였다는 측면에서는 아주 만족할만한 성과가 아닐까 싶습니다.
추가적으로 교재와 더불어 무료 기출문제들을 수시로 풀며 최신기출 동향이 어떤지, 문제 수준은 어떤지 파악할 수 있어 시험장에서 더욱 좋은 성과를 냈었던 것 같습니다.
기출문제
한국사능력시험의 경우 국사편찬위원회 시험자료실에서 2020년부터 최근까지의 문제와 정답표를 PDF파일로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태블릿도 없는 저의 경우에 파일로 제공되는 것들을 출력하여 풀어보기에는 시간 낭비가 심했는데요.
위 사유로 찾아 보니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기출문제를 인터넷으로 풀어볼 수 있는 곳이 있었습니다.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란 곳에서 한능검을 포함한 모든 자격증을 컴퓨터 테스트 방식으로 학습이 가능했고 모바일로 수시로 문제를 풀어보며 시험을 치르기 전 최종 정리를 간단하게 할 수 있었습니다.
일정
한국사능력시험 일정은 국사편찬위원회 홈페이지 시험일정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2023년 시험은 11월 20일부로 모두 종료되었습니다.
2023년의 경우 1월, 3월, 5월, 7월, 9월, 11월 원서접수 기간이 7일씩 주어졌으며 추가접수 3일까지 포함하여 총 10일이 원서접수 기간임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2024년 일정도 동일하게 1월부터 2개월 단위로 시작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정확한 일정은 추후 업데이트되는대로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유효기간
한능검 시험 그 자체는 유효기간이 정해져 있지 않습니다. 하지만 2022년에는 대부분의 공공기관에서 자체적으로 자격 취득 기간에 제한을 두기도 하였는데요.
2023년도 마찬가지로 공공기관, 공기업, 공사 등에서는 자체 유효기간을 두고 있는 것으로 확인됩니다. 대신, 2022년에는 평균적으로 2년 이내 취득한 자격을 인정해주었다면 2023년에는 4년 이내 취득한 자격증을 유효하게 가산점으로 인정해주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이 또한 평균 추정치이므로 자신이 목표로 하는 기관들이 자체적으로 설정한 유효기간을 꼭 확인해보시길 바랍니다.
발행처
한능검을 취득한 후 이력서에 기재할 때 자격증명 옆에 있는 발행처를 뭐라고 써야될 지 모르시는 분들이 많으실텐데요.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의 발행처는 ‘국사편찬위원회’입니다.
여기까지 읽고 계시다면 비단 한능검뿐만 아니라 자격증의 발행처나 취득일 등을 일일이 확인하는 것이 상당히 불편하실텐데요.
네이버에서 간단하게 자신이 취득한 모든 자격증의 취득일, 발행처를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무료니까 한번 사용해보시길 추천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