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많은 분들이 카카오톡을 하시면서 카카오페이로 결제를 하시곤 합니다. 카카오페이는 현금을 사용하는 개념이며 당연히 현금 영수증을 발행할 수 있습니다. 이 금액이 생각보다 커서 연말정산 때 카카오페이 소득공제도 큰 도움이 된다는 사실 알고 계신가요? 소득공제를 위해 까먹기 전에 미리 카카오페이 현금영수증 발급 설정 방법을 따라해보세요.
카카오페이 현금영수증 발급 설정 방법
카카오페이 현금영수증 발급 설정을 해 놓으시면 단 건으로 현금영수증을 발행할 필요 없이 해당 휴대폰 번호로 개인소득공제가 가능하니 귀찮더라도 한 번은 해 두시는 것이 좋습니다. 상세한 발급 설정 과정을 사진과 함께 안내하겠습니다.
카카오페이 현금영수증 발급 설정 방법 6단계
① 카카오톡을 열어서 화면 맨 아래 오른쪽에 있는 점 세 개 버튼을 눌러 더보기 창에서 페이 금액을 눌러주세요. (금액과 상관없이 눌러주시면 됩니다)

② 카카오페이 창이 나오면 맨 위 오른쪽에 있는 설정(톱니바퀴모양)을 눌러주세요.
③ 설정 창에서 스크롤을 내려 ‘결제 관리’ 항목의 ‘현금영수증 발급 정보’로 들어가주세요.
④ 현금영수증 발급정보 관리 창이 뜨면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라고 표시되어 있습니다. 맨 아래의 ‘등록하기’버튼을 눌러주세요. 휴대폰 번호가 표시되어 있다면 이미 등록되어 있는 경우이니 따로 등록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⑤ 소득공제 유형을 선택해주세요. 개인소득공제는 휴대폰, 현금영수증카드가 있으며 지출증빙은 사업자용과 현금영수증 카드가 있습니다. 개인소득공제일 경우 휴대폰 번호를 입력하고 정보수집에 동의한 후 확인을 눌러주세요.
⑥ 등록이 완료된 모습입니다. 마지막으로 확인을 눌러주세요.
카카오페이 소득공제 현금영수증 공제비율
지출별로 나눌 시 현금영수증의 연말정산 공제 비율은 지출 중 30%라고 합니다. 신용카드가 15%인데 비해 상당히 높은 수준인데요. 카카오페이는 현금을 사용하는 것과 동일하게 높은 공제비율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조금 귀찮더라도 미리 신청해놓으신다면 연말정산 때 훨씬 수월하게 공제한도까지 채우는데 큰 도움이 되실 거라 생각합니다.
✅ 같이 보면 좋은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