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복리 계산기 바로가기를 통해 원금을 넣었을 때 일정 기간 복리로 저축했을 때 얼마나 늘어났는지 바로 확인이 가능합니다. 월복리나 일복리 등 단위 선택도 가능하니 원하는 조건으로 복리 계산기를 사용해보시길 바랍니다.
연복리 계산기
ourcalc 사이트에 접속해 연복리 계산기를 사용하는 방법을 공유드리겠습니다. 시작하기 전 복리의 개념에 대해 잠깐 체크하고 넘어가자면 복리란 원금에 대한 이자만 매년 붙는 것이 아니라 원금에 대한 이자가 붙은 후 이후에는 원금과 원금에 대한 이자가 합산된 금액에 이자가 다시 붙어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형식을 말합니다.
ourcalc에서 제공하는 복리 계산기는 별도의 회원가입이 필요 없으며 무료로 제공되고 있습니다. 연복리 또는 월복리, 일복리 계산을 위해 먼저 ourcalc 복리 계산기 사이트에 접속해주세요. 상단의 금융 계산기에서 복리 계산기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입력을 원하는 원금, 연 이자율, 만기를 기입 후 복리 계산 단위를 선택해주세요. 연 복리, 월 복리, 일 복리 세 가지 단위 선택이 가능합니다. 저는 원금 100만 원을 20년간 이자율 5% 연 복리시 20년 후 원리금을 얼마나 받을 수 있는지 확인해봤습니다.
그 결과 원금 100만원을 연 이자율 5%로 20년 만기시 복리 최종 원리금 합계는 약 265만 원으로 원금의 2.6배나 되는 금액입니다. ourcalc 복리 계산기로 계산한 결과 맨 하단에는 받게 될 총 이자를 확인할 수 있으며 단리에 비해 얼마나 많은 금액을 받게 되는지 간결하게 설명되어 있습니다.
만약 이 금액이 1년 단위가 아니라 월 단위나 일 단위였다면 그 금액은 상상을 초월할 것입니다. 그래서 워런버핏이 그렇게 큰 돈을 벌었나봅니다. ^^
연복리 계산기 주의사항
연, 월, 일 단위 기준과는 상관 없이 이자율 입력은 모두 동일하게 ‘연 이자율(%)’ 아래에 입력해주시면 됩니다. 월 복리를 계산할 경우 ‘만기(年)’ 메뉴에 입력하는 숫자는 월 단위라고 생각하면 되며 일도 마찬가지입니다.
만약 복리 계산 단위를 연, 월, 일이 아니라 6개월, 3개월 즉 반기나 분기 복리를 계산하고 싶으시다면 monkiapp에서 제공하는 복리 계산기를 이용해보시기를 추천드립니다.
복리 계산 공식
마지막으로 추천 드린 연복리 계산기가 어떻게 만들어지는 지 궁금하실텐데요. 복리 계산 공식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복리 공식은 F = P(1+r)ⁿ 으로 P는 현재 값, r은 이율, n은 기간을 나타내며 F는 결과 값을 나타냅니다.
수학적 지식이 있으시다면 복리 계산 공식을 이용해 복리 계산기를 만들어 보는 것도 좋겠습니다.
✅ 함께 보면 좋은 글